조선 제18대 왕, 현종 (顯宗, 1641~1674)

728x90

조선 제18대 왕 현종(顯宗, 1641~1674)은 아버지 효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지만, 강한 왕권을 행사하지 못한 왕이었다.
그의 재위 기간은 서인과 남인의 당파 싸움(예송 논쟁)이 심화되었고,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또한 그는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며 조세 개혁을 추진했지만,
짧은 재위 기간(15년) 동안 큰 개혁을 이루지는 못했다.


📌 현종의 생애

  • 출생: 1641년 (인조 19년)
  • 즉위: 1659년 (조선 제18대 왕)
  • 사망: 1674년 (향년 34세)
  • 재위 기간: 1659년 ~ 1674년 (15년간 통치)
  • 아버지: 조선 효종
  • 어머니: 인선왕후 장씨
  • 본명: 이연(李棩)

현종은 아버지 효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즉위 후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서인과 남인의 당쟁 속에서 정치를 운영해야 했다.
또한 병약한 체질로 인해 국정을 오래 이끌지 못하고 34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현종의 주요 정책과 사건

1. 예송 논쟁(禮訟, 1659년·1674년) - 당파 싸움의 본격적인 시작

📜 예송 논쟁(禮訟論爭)이란?

  • 효종이 사망하자, 효종의 계모(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조대비)의 복상 기간(상복을 입는 기간)을 두고 서인과 남인이 대립한 사건
  • 서인(西人): 1년 복 주장 (효종은 차남이므로 짧게)
  • 남인(南人): 3년 복 주장 (효종은 왕이므로 길게)

📜 예송 논쟁의 결과:

  • 1차 예송(1659년): 서인의 의견(1년 복)이 받아들여짐
  • 2차 예송(1674년): 남인의 의견(3년 복)이 받아들여지며 서인이 실각

📜 예송 논쟁의 의미:

  • 단순한 장례 절차 문제가 아니라, 왕권과 신권(신하들의 권력)의 대립 문제
  • 이후 조선 후기까지 서인과 남인의 당쟁이 계속됨

2. 대동법 전국 확대 - 조세 개혁

📜 대동법(大同法)이란?

  • 백성들이 곡물, 특산물 등으로 세금을 내던 기존 방식에서,
    쌀(대동미)이나 동전(대동전)으로 통일하여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제도
  • 공납의 폐단을 해결하고 조세 부담을 공평하게 하려는 개혁 정책

📜 현종 시기의 대동법 확대:

  •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
  • 경상도, 황해도까지 확대 시행 (숙종 때 전국 시행 완료)

📜 대동법의 효과:
✅ 백성들의 세금 부담이 감소함
✅ 세금 납부 방식이 통일되면서 행정이 편리해짐
✅ 상업과 유통 경제가 발전하는 계기가 됨

📜 그러나:

  • 일부 양반과 지주층의 반발이 심했으며,
  • 지역별 시행 속도 차이로 인해 완전한 정착에는 시간이 걸림

3. 사회 안정과 군사 개혁 시도

📜 사회 정책:

  • 백성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군역(군대 의무) 완화 시도
  • 농업 발전을 위해 농서(農書) 편찬 장려

📜 군사 정책:

  • 아버지 효종의 북벌 준비를 계승하려 했으나, 실질적인 군사 개혁은 이루어지지 못함
  • 당시 조선은 청나라의 감시 아래 있어 북벌을 실행할 수 없는 상황

현종은 경제 개혁을 시도했지만, 정치적 갈등(예송 논쟁)으로 인해 강력한 개혁을 추진하지는 못했다.


📌 현종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

1. 왕권이 약했던 조선의 군주

  • 현종은 즉위 후 강한 왕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서인과 남인의 대립 속에서 정치가 운영됨
  • 이는 조선 후기 당쟁(黨爭)이 심화되는 계기가 됨

2. 대동법 확대의 기여

  • 현종은 짧은 재위 기간에도 조선의 조세 개혁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이후 숙종(19대 왕)이 이를 완성함

3. 병약한 체질과 단명한 왕

  • 현종은 어릴 때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34세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사망
  • 조선의 왕들 중 상대적으로 짧은 재위(15년)를 한 군주 중 하나

📌 결론: 현종은 어떤 왕이었나?

📌 즉위 후 서인과 남인의 예송 논쟁으로 정치적 혼란이 발생
📌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며 조세 개혁을 추진
📌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행하지 못함
📌 왕권이 약했고, 당파 싸움 속에서 국정을 운영해야 했던 왕
📌 34세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사망

현종은 강한 왕권을 행사하지 못했지만, 조세 개혁(대동법 확대)에는 중요한 역할을 한 왕이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