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용어 700선_기초 용어 #1

728x90

 

안녕하세요!! M.Lab 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경제용어를 이해하기 쉽고 가볍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부자가 되려면 최소한의 상식은 있어야겠지요? 저 또한 부족함이 많아 스스로 공부할 겸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다같이 열심히 공부해서 똘똘 해지자구요

 


1. 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국내 총생산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GDP는 한 국가 내에서 특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한 값입니다. 이는 국가의 경제 활동 수준과 성장률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GDP는 소비, 투자, 정부 지출 및 수출과 수입 등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GDP의 측정은 국가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정책 결정과 예측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CPI

특정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소비자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요 소비재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반영하며, 주택비, 식품, 의류, 교통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합니다. CPI는 경제의 물가 상황을 파악하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또는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경향을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정부, 기업, 인플레이션 조정된 임금 산정 등 다양한 경제와 정책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3. FDI

기업이 자국 외에 다른 국가에 자본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FDI는 외국의 기업 또는 개인이 다른 국가의 기업에 투자하거나 외국에 직접 기업을 설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FDI는 투자 받는 국가에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며, 기술, 자본, 경영 노하우 등을 전달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FDI는 일자리 창출, 수출 증대, 기술 발전 등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4. BOP

결제수지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와의 경제적 거래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BOP는 국제 거래의 균형과 외환시장의 안정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결제수지는 주로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첫째, 수출 및 수입의 차이인 상품 및 서비스 거래의 잔액인 상품수지. 둘째, 자본 이동과 관련된 자본수지로, 외국인의 국내 자산 투자 및 국내인의 외국 자산 투자를 포함합니다. 셋째, 현금 흐름과 관련된 소득수지로, 국내인과 외국인 간의 소득 및 이자, 배당금 등을 고려합니다. 

 

5. VAT

부가가치세를 의미합니다. VAT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과 판매 과정에서 추가된 가치에 대해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할 때 마다 부가가치세를 부과하고, 소비자가 구매할 때 추가로 부가가치세를 지불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에 포함되어 있으며, 국가의 수입원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6. OMO

Open Market Operations의 약자로, 개방시장운영을 의미합니다. 중앙은행이 시장에서 돈의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채권을 매입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OMO는 중앙은행이 통화량과 금리를 조절하여 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통화정책을 실행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경기 부진으로 인해 경제에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 채권을 시장에서 매입하여 현금을 주입합니다. 이로 인해 은행들은 더 많은 대출을 하고 경제 활동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제가 과열되거나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은행은 채권을 시장에 판매하여 현금을 회수하고 유동성을 축소합니다. 이를 통해 금리를 상승시켜 경제 활동을 억제하고 가격 안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7. NPLs

Non-Performing Loans의 약자로, 상환 불능 대출을 의미합니다. NPLS는 은행이 고객에게 대출을 하였지만 상환 기간 내에 이자나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는 대출 채권자가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해있거나, 경제적인 상황이 악화되어 상환 불능 상태에 놓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NPLS는 은행의 자산 품질을 저하시키고, 은행의 재무 건전성과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NPLS를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들은 신용 평가, 대출 채권 회수 노력, 신용 위험 관리 등을 강화하여 대출의 원활한 상환을 유도하려고 노력합니다.

 

8. FX rate

Foreign Exchange rate의 약자로, 외환 환율을 의미합니다. 외환 환율은 한 국가의 통화를 다른 국가의 통화로 환전할 때 적용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환율은 통화의 가치를 나타내며, 국제무역이나 여행 등 국가 간의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율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요인에는 경제 성장률, 이자율, 인플레이션 수준, 정치적 요인, 외국인 투자 등이 포함됩니다. 환율 변동은 국제무역, 외국인 투자, 여행 등 다양한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수출입 기업이나 외국인 투자자 등은 환율 변동에 따라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9. PPI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로, 생산자물가지수를 의미합니다. PPI는 특정 시기에 생산자가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주로 산업 부문에서 사용되며, 소비자물가지수(CPI)와 함께 경제의 물가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PPI는 생산자가 직면한 원자재, 노동력, 운송 등의 비용 변동을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생산자들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PPI는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 부문에 대한 가격 동향을 제공하며, 경기 전망과 인플레이션 경향을 예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10. QE

QE는 Quantitative Easing의 약자로, 양적 완화를 의미합니다. 양적 완화는 중앙은행이 경제를 활성화하고 금리를 낮추기 위해 시장에 대량의 돈을 투입하는 정책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나 디플레이션 위험이 있는 경우 중앙은행은 QE를 시행합니다. 이는 중앙은행이 정부 채권이나 기타 자산을 구입하여 시중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에 투입된 자금은 은행들에게 대출이나 투자로 이어지며, 경제 활동과 소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QE의 목표는 금리를 낮추고 금융 시장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경제에 유동성을 제공하여 경기를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QE는 인플레이션을 견인하고 부채 조달을 돕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