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LAb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경제용어 700선 네 번째 정리본입니다.
부자가 되려면 최소한의 상식은 있어야겠지요?
저 또한 부족함이 많아 스스로 공부할 겸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다 같이 열심히 공부해서 어제보다 오늘조금 더 똘똘해 지자고요!
1. 레퍼곡선 (Laffer Curve)
미국의 경제학자 래퍼(A. Laffer)가 제시한 조세수입과 세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래퍼는 세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할 때 조세수입은 상승하다가 정점에이른 후 다시 하강한다면서, 세율(t)을 수평축에 조세수입(T)을 수직축에 놓고 이들의관계를 그려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역 U자 모양의 곡선”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래퍼곡선(Laffer curve)에 따르면 세율이 높아지면 초기에는 세수가 늘어나나 일정 수준(t*)이넘으면 오히려 감소하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t*)을 넘지 않았다면세수증대를 위해서는 세율을 올려야 하며 반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수준을 넘었다면 감세가 세수증대에 도움이 된다.
2. 레그테크 (Regtech)
금융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정보기술(IT)과 규제를 결합하여 규제관련 요구사항 및 절차를 향상시키는 기술 또는회사를 뜻한다. 이는 금융서비스 산업의 새 영역이자 일종의 핀테크(FinTech)이다.
3. 레버리지 효과 (Leverage Effect)
안정성을 추구하는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가발생한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조달되어야한다. 레버리지 효과는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자기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증가하게 된다.
4. 로렌츠곡선 (Lorenz Curve)
1905년 미국의 통계학자인 로렌츠(M. Lorenz)가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기위해 제안한 것으로, 인구의 누적비율을 가로축에 소득의 누적점유율을 세로축에 놓고이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시한 곡선을 말한다.렌츠 곡선은 한 나라의 소득분배 상태를 그림으로 볼 수 있다는장점이 있으나 그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데, 소득분배 상태를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니계수를 이용하여야 한다.
5. 매몰비용 (Sunk Cost)
이미 지급되어 다시는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기회비용은 어떤 것을 선택할때 포기하여야 하는 비용을 말하지만, 매몰비용(sunk cost)은 무엇을 선택하는가에 상관없이 지급할 수밖에 없는 비용이다. 이미 지급된 매몰비용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아무것도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현재 시점에서 아무것도 포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몰비용과관련된 기회비용은 영(0)이다. 따라서 어떤 선택을 할 때에는 선택에 따른 편익은 극대화하고 비용은 최소화하되 이미 지출된 매몰비용은 무시해야 한다.
6.무디스 (Moody's)
1909년 출판업자인 미국의 John Moody가 창업하였으며 1909년 채권신용 평가업무를개시하였다. 1929년 세계 대공황 때 무디스가 ‘투자적격’으로 평가한 기업들이 채무를100% 이행하게 되면서 높은 신뢰와 명성을 획득한 이후 세계적인 투자자문회사로 성장하였으며 S&P, Fitch와 함께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무디스는일반적으로 채권의 신용등급을 신용리스크 수준에 따라 Aaa(최우량), Aa, A, Baa, Ba,B, Caa, Ca, C(최저)의 순으로 매기며, Aa에서 Caa까지는 숫자 1, 2, 3을 추가하여 등급을 세분한다.
7. 뮤추얼펀드 (Mutual Fund)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후 그 운용수익을 투자자 즉 주주들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의 하나이다. 이때 투자자는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펀드매니저가운용하는 간접 투자방식이다. 제도적으로 회사형과 계약형으로 나눌 수 있고, 주요투자대상에 따라 단기금융시장, 채권형(또는 고정수입), 주식형(또는 순자산), 혼합형(하이브리드) 등으로 분류된다.
8. 방카슈랑스 (Bancassurance)
방카슈랑스(Bancassurance)라는 말은 유럽에서 만들어지고 발전된 개념으로 은행을의미하는 프랑스어 Banque와 보험을 의미하는 Assurance의 합성어이다. 은행과 보험회사가 서로 연결되어 일반 개인에게 폭넓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좁게는보험회사가 은행 지점을 보험상품의 판매 대리점으로 이용하여 은행원이 직접 보험상품을파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금융권역의 장벽이 낮아지는 추세에 있어 은행뿐만 아니라저축은행, 카드사 등과 같은 비은행 금융기관에서도 보험을 판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9. 뱅크런 (Bank Run)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금융시장 상황이 불안하거나 은행의경영 및 건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금자들은 은행에 맡긴 돈을 보장받을 수 없을것이라는 불안감에 저축한 돈을 인출하게 되고 은행은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10. 베블런 효과(Veblen's effect)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수요의 법칙에 반하는 재화를 베블런재라 부른다.사치재 또는 명품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재화는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가 증가하는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시 욕구를 반영한 소비현상을 베블런효과(Veblen's effect)라고 부른다.
'부자가 되려면 > 좀만 더 똘똘해지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경제용어 700선_기초용어 #6 (0) | 2023.10.05 |
---|---|
한국경제용어 700선_기초용어#5 (0) | 2023.09.21 |
한국경제용어 700선_기초용어#3 (0) | 2023.09.19 |
국내 주식시장의 기초 용어 5 -코스피,코스닥 이 뭐냐고? (0) | 2023.09.16 |
한국경제용어 700선_기초 용어 #2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