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OROJECT입니다.
내년 출산 지원금 및 육아 관련 지원 정책에 대해 많이 궁금하시죠?
각 시도 별 출산지원금에 대해 계속 확인하고 있으나 아직은 발표된 바가 없어 보입니다.
정책이 발표 나는 데로 새로이 정리해 여러분께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저에게도 꾸준히 올릴 수 있는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작은 표시가 저에겐 너무나도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예산안을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했습니다.
1. 양육비 경감
둘째자녀이상 출산시 첫만남 이용권 지원금액 |
0~1세 자녀 양육가구 부모급여 |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소득요건 | ||
2023년 | 200만원 | 70만원/월 | 35만원/월 | 중위180% |
2024년 | 300만원 | 100만원/월 | 50만원/월 | 폐지 |
- 부모급여가 2년간 총 540만 원(0세 360만, 1세 180만)으로 증액되어 양육의 다소 부담이 줄게 되었다.
- 또한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의 의료비 지원요건이 완전히 폐지되어 기존 지원을 받지 못했던 가구들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 보육 인프라
0~2세반 어린이집 지원 | 어린이휴일(~최소 18시) 야간(~최소 24시) 진료 |
|||||
2023년 | 등록아동 기준지원 | 신규 | 신규 | |||
2024년 | 정원 미달시에도 정원기준 지원(단, 현원 50%이상) |
24시간 소아전문 상담센터(5개소) 의료상담 | 달빛어린이병원 (45개소) |
- 어린이집 지원 기준이 완화되어 어린이집의 부담이 줄었다. 현행 등록아동 수만큼만 지원되던 요건들이 정원 미달일지라도 정원 기준으로 지원이 된다. 단, 현재 원생들이 50% 이상일 경우.
- 아이들의 응급진료 및 병원을 급하게 가야 할 경우 의료상담센터를 통해 진료하고 야간진료를 받을 수 있는 어린이병원이 45개소 개원하게 된다.
3. 주거안정
출산가구 저리 융자지원 소득요건 대폭 완화(1.3억원이하) | 출산가구 특별공급 | ||
주택구입 | 전세자금 | ||
2023년 | 주택가액 6억이하, 4억한도 | 보증금 4억 이하, 3억 한도 | 신규 |
2024년 | 주택가액 9억이하, 5억한도 | 보증금 5억 이하, 3억한도 | 분양 특별공급, 임대 우선배정 신설 |
- 주거 안정 및 출산가구를 위해 지원 금액이 늘었다. 내년 24년도부터는 주택 구입 시 9억 원 이하로 3억 원 늘었으며 전세자금도 1억 원 늘었다.
4. 일-육아 병행
육아휴직기간연장 (부모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시) |
맞돌봄 특례지원 확대 (영아기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시)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확대(중소기업 근로자) |
|
2023년 | 최대 12개월 | 최대 300만원/3개월 | 5일 |
2024년 | 최대 18개월 | 최대 450만원/6개월 | 10일 |
- 육아휴직 기간이 6개월 연장되었으며 6개월간 최대 450만 원이 지원된다.
- 중소기업 근로자의 육아휴직 및 출산휴가를 장려하기 위해 급여지원이 5일에서 10일로 연장되었다.
'세상의 모든 이야기 > 돈 되는 정보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초년생이 받을 수 있는 추천 대출 Top 3 (0) | 2024.06.01 |
---|---|
실업급여 신청방법 /24년도 구직급여액/ 지급기간 (0) | 2024.04.10 |
2023 전국 공통 임신&출산 지원제도 (2) | 2023.10.04 |
전남 신안 출산 장려금 및 기타 복지(23.09.30 기준) (1) | 2023.10.01 |
전남 진도 출산 장려금 및 기타 복지(23.09.30 기준) (0) | 2023.10.01 |